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혈액에 대해서

by ※.. 2020. 4. 23.
반응형

혈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혈액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졌있을까요? 보통 혈액형인A,B,AB,O형으로 이루어진 혈액형의 이름만 측정할 수 있을까요? 먼저 혈액 구성 성분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혈액의 다른 이름은 피라고도 불리 웁니다. 이혈액은 몸 안의 세포에 산소,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역활이 매우 중요합니다. 모양은 도넛 모양으로 핵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혈장과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과 같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혈액이 붉은 색을 띠게 되는 것은 철분과 산소와 결합하여 있기 때문에 붉은 색을 띄게 됩니다. 혈액의 역할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영양소를 운반하고 산소를 받아 들이고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는 역할입니다. 그리고 각 조직에서 나오는 노폐물을 운반 하고 호르몬의 목표기 관까지 운반하고 열과 체온 유지를 합니다. 그리고 몸에 상처나 세균과 싸우기위해 면역 인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체내 삼투압을 조절하고 있습니다. 몸의 수소 이온 농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혈액에서 구성 성분 중에 혈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백혈구는 세포핵을 가지고 있으며 백혈구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많습니다. 면역으로 보통 대식세포가 많으며 대식세포에도 종류가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세균과 싸우는 대식세포는 여러 Y모양의 박테리아를 인식하는 항원을 가지고 있어서 박테리아를 포식하여 안에서 녹여서 분해 시켜 버립니다. 이중에 종류서  호산성 백혈구, 호염기성 백혈구, 호중성 백혈구가 있고 무과립성 백혈구에는 림프구와 단백구가 있습니다. 림프구는 T-cell과 B-cell로 나누게 되며 암세포를 잡는 NK세포도 있습니다. 보통 바이러스성 포식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혈액형으로 나누는 방법은 당단백질 항원에 따라 나누게 됩니다. 그리고 RH의 - +나누게 되며 더나아가서 시스 형까지도 나누게 됩니다. 혈액형으로 성격을 구분 짓는 것은 과학적으로는 근거가 없으며 농담식으로 받아드리면 되겠습니다.대부분의 연체동물은 헤모시아닌을 혈색소로 갖고 있으나 일부 종류는 헤모글로빈과 헤모시아닌을 모두 갖고 있는 경우도 있고 어린 때에는 헤모글로빈이 있다가 성체가 되면 헤모시아닌을 혈색소로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 산화탄소가 적혈구로부터 농도가 낮은 혈장으로 녹아드는 것을 막기 위해 적혈구는 물과 효소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탄산으로 변화시키고 이를 다시 중탄산이온과 수소이온으로 분리시킨 다음 중탄산이온은 혈장으로 내보내고 수소이온 만을 헤모글로빈과 결합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염화물 전환이라고 하며, 그 결과 혈장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고 주변 조직들로부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반응형

댓글